7. 보의 종류와 최대굽힘모멘트
기사시험, 전공시험에서 보 문제는 정말 많이 나오는데... 보 포스팅을 어떻게 시작해야 하나 많은 고민이 있었습니다. (게을러져서 상세하게 설명하기가 막막하네요 ㅠ )
그래서 일단은 아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, 문제푸는데 필요한 공식 위주로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.
※ 컴퓨터 or 패드로 봐야 표가 깨지지 않고 제대로 보입니다.
■ 보의 종류와 하중의 종류
문제에서 간혹 그림이 없이 글로만 보와 하중을 설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(ex, 고정지지보 전체에 등분포하중 w가 작용하고 있다. 등)
그럼 고정지지보가 뭔지 알아야 문제를 풀 수 있겠죠.
1. 보의 종류
a. 외팔보 | b. 단순보 | c. 돌출보 |
![]() |
![]() |
![]() |
d. 양단고정보 | e. 고정지지보 (=일단고정 타단지지보) | f. 연속보 |
![]() |
![]() |
![]() |
참고로 f와 같이 연속보는 세 개 이상의 지지점을 갖는 보를 말합니다.
2. 하중의 종류
a. 집중하중 | b. 분포하중 (등분포) | c. 분포하중 (삼각분포) |
![]() |
![]() |
![]() |
하중의 종류에도 여러가지가 있지만, 주로 기사시험에 나오는 하중만 다뤄보자면 집중하중과 분포하중이 있습니다.
집중하중은 보통 P로 표시하며, 등분포하중은 ω 로 표시합니다.
■ 보의 부호규약
보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, 보의 내부 요소에는 굽혀지려는 모멘트(M)와 비틀리려는 전단(V)이 발생하게 됩니다. 하중에 어디에 작용하느냐에 따라 방향을 +, -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.
부호 | 방향 | 상세 (미소요소를 확대했을 때) |
+ | ![]() |
![]() |
- | ![]() |
![]() |
■ 보 속의 굽힘응력과 전단응력
그동안 응력은 P/A라고 알고 있었지만, 보에 굽힘모멘트 M으로 인해 발생하는 응력은 아래와 같이 표현합니다. 아래에서 b는 bending 을 의미합니다.
굽힘모멘트에 의한 전단응력은 주로 사각형, 원형단면에 대해서 나옵니다. 도형별로 반드시 암기해둬야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. (아래에서 A : 도형의 면적 , V : 전단력)
사각형 - 원형 순서대로 앞에 계수만 주의해주면 됩니다.
분모-분자 순서대로 해서 저는 2,3 - 3,4 로 외웠습니다.
■ 주요 보에서의 최대굽힘모멘트 Mmax
사실 아래의 내용은 평형방정식 등을 이용해서 계산해낼 수 있는 값들입니다. 그런데 하나하나 다 계산과정을 쓰자니 포스팅을 할 엄두가 안나서.. 결과값만 정리해봤습니다.
저의 경우는... 주로 아래의 내용은 암기를 하고 들어갔었습니다. (그럼 문제 보자마자 바로 풀 수 있음) 기억이 잘 안나는거나 안외워서 모르는 경우만 그 자리에서 구했습니다.
자신만의 정리노트를 만들어서, 필요한 경우 제가 다루지 않은 보도 추가해보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.
참고로 Mmax 외에 각 지점에서의 반력 or 모멘트값을 알아야 풀 수 있는 문제가 많습니다.
민트색으로 그림에 표시해놨으니 같이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.
보의 종류 | 최대굽힘모멘트 (Mmax) |
![]() |
![]() * 각 지점에서의 반력은 길이 a ,b가 교차해서 들어감. (X자 형태) |
![]() |
![]() * 하중 P가 보의 중앙에 작용하고 있을 때임 (보 길이 ℓ ) |
![]() |
![]() * 보에서 Mmax인 지점도 반드시 외울 것 (고정단으로부터 5ℓ/8 지점) |
![]() |
* 주로 각 지점에서의 반력만 물어봄 * 양 끝단은 3/8, 가운데는 5/4 * 보의 길이는 2ℓ |
![]()
|
![]() * 보 길이 ℓ |
![]() |
![]() * 보 길이 ℓ |
![]() |
![]() * 보 길이 ℓ |
재료역학 보, 보의굽힘모멘트,최대굽힘모멘트,보속의굽힘응력,보의굽힘응력,보의 부호,보의종류,보속의응력,보의종류,보의하중,보의부호규약,부호규약,보에서의부호,보에서의굽힘모멘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