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계공작법-기하공차, 측정게이지, 제도선 우선순위
◎ 기하공차 ◎
기하공차는 어렵지 않고 기호와 그 설명을 보면 '당연히 아는거지~' 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을 텐데요, 저는 막상 공기업 전공시험에 나오니까 헷갈려서 턱 막혔던 기억이 있던 부분입니다. ㅜㅜ
경험상으로는 잘 나오는 파트는 아니었던 것 같은데, 또 막상 나오게 되면 어이없게 점수를 날리는 항목이 될 수도 있으니 확실히 알아두시는게 좋습니다.
예를들어 '위치공차가 아닌 것은?' 이라는 질문의 보기에 모양공차가 하나 섞여있다거나 하는 식으로도 나옵니다.
각 기하공차의 종류와 기호를 잘 알아두시면 좋습니다. (일반기계기사 작업형에서 도면 작성시 이 기하공차를 이용해서 도면을 그려야하는데 , 이 포스팅에서는 간단한 내용만 다루겠습니다.)
◎ 제도시 선의 우선순위 ◎
제도를 할 때 선에는 다양한 종류의 선이 있습니다. 외형선, 절단선, 중심선, 치수보조선 등..
그런데 도면을 그리다보면 이 선이 겹쳐지는 경우가 있습니다. 그럼 겹쳐지는 선에서 우선적으로 보여야 하는 선이 있을텐데요.
이것도 가끔씩 시험에 나왔던 것 같으니 알아두시면 좋습니다.
↓ 아래에 '선'은 생략하고 명칭만 작성했습니다.
※ 제도 시 선 우선순위 : 외형>숨은>절단>중심>무게중심>치수보조
→ 암기방법 : 외숨절중무치
◎ 게이지측정기 (guage) ◎
게이지의 사전적 의미는 '공작물을 검사할 때 길이, 각도, 모양 등의 기준이 되는 것' 을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.
즉 공작물이 도면의 치수대로 제대로 가공이 되었는지 검사할 때 사용하는 측정기기로 볼 수 있습니다.
참고1)
게이지 중에 '서피스게이지(surface guage)'는 측정기기가 아닙니다. 똑같이 '게이지'가 들어가 있어서 측정기일 것이라고 헷갈릴 수 있는데, 서피스게이지는 정반 위에 금긋기, 중심내기 등에 이용하는 금긋기 공구입니다. 측정기가 아닙니다.
(보기에 섞어서 말장난 하는 문제가 가끔 있음)
참고2)
하이트게이지는 버니어캘리퍼스를 수직으로 사용하여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게이지입니다. 하이트게이지는 높이의 '측정'도 하면서 재료에 '금긋기'도 가능합니다.
구분 | 종류 | 특징 | 사진 |
블록게이지 | *길이측정의 표준이 됨. *여러 치수를 함께 사용해서 (겹쳐서) 사용 가능 ※ 아마 기계공학 전공하신분들은 실습시간에 한번씩 사용해보셨을거에요. 대표적으로 직사각형 모양 ㅎㅎ 원형도 있습니다. |
![]() |
|
한계게이지 (Limit Guage) |
*제품의 최대/최소 허용한계치수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게이지. *통과/정지측이 있음 *통과측은 최대허용치수(+공차), 정지측은 최소허용치수(-공차)로 제작하여 제품의 치수가 이 두 한도 내에 들도록 만들어졌는지 검사. |
||
구멍용 | *플러그게이지, 봉게이지, 평게이지 ※통과,정지측이 일반 한계게이지와 다름. 표 아래 참고3 참조 |
![]() |
|
축용 | * 링게이지, 스냅게이지 | ![]() |
|
기타게이지 | 센터게이지 | * 나사깎기 바이트의 각도를 측정 | ![]() |
와이어게이지 | * 각종 철강선의 굵기, 박강판 두께측정, 번호로 표시함 |
![]() |
|
피치게이지 | * =나사산게이지, 나사의 피치 측정 | ||
실린더게이지 | * 2점 접촉식, 안지름(내경)측정 | ![]() |
참고3) 구멍용 게이지는 통과/정지측이 일반 한계게이지의 설명과 좀 다른데요.
우리가 가공한 '구멍'이 공차내로 가공되었는지 검사하는 게이지이기 때문에,
게이지의 GO(통과)측이 구멍의 최소허용치수로 가공, 게이지의 NO-GO(정지)측이 구멍의 최대허용치수로 가공되어 있습니다.
즉 가공한 구멍이 오차범위보다 더 '크게' 가공되어 있으면, 구멍의 최대허용치수로 가공된 게이지의 정지(NO-GO)측이 안들어가야 하는데 쑥 들어갈 것이고,
가공한 구멍이 오차범위보다 더 '작게' 가공되어 있으면, 구멍의 최소허용치수로 가공된 게이지의 통과(GO)측이 안들어가지겠죠.
제도선우선순위,제도선,기하공차,게이지,측정게이지,서피스게이지,한계게이지,구멍게이지,플러그게이지,구멍용게이지최대최소,한계게이지최대최소,플러그게이지최대최소,플러그게이지통과측,기계공작법정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