※ 주요 내용만 다룰 예정입니다. 여러 문제를 계속 풀면서 놓쳤던것, 몰랐던것은 뼈대 개념에서 보충해가는 식으로 공부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.
■ 금속재료의 성질
1. 중금속 / 경금속을 구분하는 기준은 비중 이며, 4.5이상은 중금속, 그 이하는 경금속이라고 합니다.
2. 용융점 : 말그대로 녹는점입니다.
- 텅스텐(W)이 3410℃로 가장 높고
- 알루미늄(Al) 은 660℃ 등 입니다.
3. 전기전도율 (문제에서 보기에 자주 나오는걸 봤습니다)
- 큰 순서대로 : Ag>Cu>Au>Al>Mg>Zn>Ni>Fe>Pb>Sb
(외우기 : 은구금알마아니철납)
4. 기계적성질 명칭들
- 강도 : 외력을 가할 때 변형, 파괴에 대한 최대저항력 (일반적으로 강도라 하면 인장강도를 뜻함)
- 경도 : 단단한 정도
- 인성 : 질긴 성질 (파괴가 일어나기까지 재료의 에너지 흡수력)
- 연성 : 재료를 잡아당겼을 때 가느다란 선으로 늘어나는 성질
- 전성 : 외력을 가하면 얇은 판으로 넓게 펼 수 있는 성질 (주철이 전성 안좋음)
- 취성 : 잘 부서지고 잘 깨지는 성질 (주철)
- 연신율 , 피로(fatigue), 크리프, 항복점 등
※ 간혹 보기 주고 '기계적 성질이 아닌 것'을 물어보는 문제가 나오기도 합니다.
※ 저만 그런지 모르겠는데 전 인성 연성 전성이 문제에 나오면 좀 헷갈렸는데요.. 외울때 인질, 연선 일케 외우고.. 전성은 전 부칠때 판에 반죽 넓게 펼치는 느낌 외웠습니다
■금속의 결정구조
전 이 부분을 '당연히 아는거니까~' 하면서 대강보고 문제었다가 헷갈려서 폭풍 틀린 기억이 있습니다 - - ;
체심과 면심은 서로 성질이 반대입니다.
(체심은 강도경도 큰 반면 연성전성이 떨어지고 / 면심은 강도경도가 낮은 반면 연성전성이 좋아서 가공성이 우수)
■금속의 변태 (Transformation)
※ 변태현상 (Transformation) : 같은 물질이 다른 상 (Phase)로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. 변태가 일어나는 온도를 변태점이라고 합니다 (ex 온도가 높아지면서 고체 → 액체로 변화)
1. 동소변태 : 원자배열 (결정격자) 이 변하는 현상
ex) 순철에서 A3 변태 (912℃, 체심 → 면심으로 상태변화)
ex) 순철에서 A4 변태 (1400℃, 면심 → 체심으로 상태변화)
2. 자기변태 : 원자배열 (결정격자)는 변하지 않고 '자성의 강도'만 변하는 현상. 여기서 '자기'라는게 self가 아니고 Magnetic임
ex) 순철에서 A2변태 (768℃, 강자성체에서 상자성체로 변화)
ex) 강에서의 A2변태 (770℃)
ex) 시멘타이트에서 A0변태 (210℃)
↑이 세개의 예시는 문제에 꽤 많이나옵니다.
*** 강자성체, 상자성체가 어떤의미인지 궁금하시다면.. 아래 블로그에 잘 설명이 되어있는 것 같아서 주소 첨부합니다.
https://blog.naver.com/seolgoons/221750070569
자화밀도와 상자성체, 강자성체, 반자성체
안녕하세요, 설군입니다. 이제 다음 챕터의 시작입니다. 물질 속의 자기장에 대해서 알아볼 것입니다. 자기...
blog.naver.com
■ 합금되는 금속의 반응
이부분도 참 이해도 안가고 와닿지도 않는 개념인데.... 시험에 나오니 외워야 합니다 ㅠ.ㅠ
참고로 액 : 액체 / 고 : 고체 입니다.
1. 공정반응 : 액 ↔ 고A + 고B
2. 공석반응 : 고A ↔ 고B + 고C
(참고로 탄소강의 펄라이트가 공석조직 (A1변태) 입니다. 철석 말고 '펄석' 으로 외우기... )
(석고는 고체죠. 공석은 반응이 고체끼리만 이뤄져있으니까 석고고고 로 외웁시당..)
3. 포정반응 : 고A ↔ 고B + 액
4. 편정반응 : 고+ 액A ↔ 액B
기계재료,금속재료,금속재료성질,금속전기전도율,합금금속반응,공정반응,공석반응,포정반응,편정반응,동소변태,자기변태,금속의변태,금속변태,변태현상,금속결정구조,금속의결정구조,체심입방격자,면심입방격자,조밀육방격자,충전율,금속결정구조충전율,금속기계적성질,금속용융점,인성,연성,전성,취성
'STUDY > 기계공학-기계재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-2. 기계재료 기초 (금속재료의 소성변형) (2) | 2020.05.07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