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-2. 기계재료 기초 (금속재료의 소성변형)
소성변형 (Plastic Deformation) 은 재료역학 응력-변형률 선도에도 등장하는 내용입니다.
탄성변형(Elastic Deformation)과 달리 재료가 영구변형되는 구간을 소성구간이라고 하고, 이를 소성변형이라 합니다
<↓응력-변형률선도 : Stress-Strain Curve>
2019/09/06 - [STUDY/기계공학 -재료역학] - 1. 하중과 변형률, 안전율
1. 하중과 변형률, 안전율
※ 기계기사나 공기업 전공시험을 위한 이론을 정리해서 올리려고 합니다. 원리 및 깊은 이해는 생략합니다 ㅠ ㅜ 그리고 너무나 기초적인 내용도 일부 생략하였습니다. ■ 하중과 변형률 길이 ℓ, 높이 d 인 물체..
alliebird.tistory.com
■ 소성변형의 원리
슬립(slip) | 금속에 인장/압축을 가하면 결정이 미끄러지면서 이동하는 현상. 소성변형이 진행될수록 슬립에 대한 저항이 점점 증가해서, 금속의 강도와 경도도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변형에 의한 가공경화 (=strain hardening) 라고 합니다. 결정면의 연속성을 파괴합니다. ※ 가공경화는 아래 또나옴 |
쌍정(twin) | 변형 전후의 격자배열이, 어떤 면을 경계로 대칭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. |
전위(dislocation) | 금속에 외력 작용시 불완전하거나 결함이 있는 곳에서부터 이동이 생기는 현상입니다. (원래 금속 결정격자는 규칙적으로 배열되어있는 것이 정상) |
■ 금속의 재결정이란? (Recrystallization)
재결정은 정말 많이 보게되는 단어입니다.
1. 정의 : 가공경화된 금속을 가열하게 되면 내부응력이 제거되어 회복이 됩니다. 계속 가열하다보면 점차 내부응력이 없는 새로운 결정핵이 생기는데, 이게 성장해서 새로운 결정 (연화된 조직) 으로 변합니다. 이때의 새로운 결정을 재결정이라고 합니다.
→ 이 때 재결정이 연화된 조직이기 때문에, 재결정은 금속의 연성을 증가, 강도를 저하시킵니다.
2. 재결정온도 (★중요) : 1시간 안에 95%이상 재결정이 생기도록 가열하는 온도
- 대표적으로 텅스텐 (W)의 재결정온도는 1000℃
3. 재결정의 특징
- 위에서도 말했듯이 재결정이 연화된 조직이므로, 금속의 연성증가, 강도저하
- 가공도가 크면 재결정온도 낮고, 가공도가 작으면 재결정온도 높다.
* 가공도가 크면 → 새로운 결정핵이 생기기쉬움 → 재결정이 낮은온도에서도 쉽게 생김
* 가공도가 작으면 → 새로운 결정핵이 생기기 어려움 → 높은 온도에서 재결정이 생김
■ 냉간가공, 열간가공
● 냉간가공과 열간가공을 구분하는 기준은? (★중요) : 재결정온도
● 냉간가공이란? (Cold Working) : 재결정온도 이하에서 가공하는 것 (★)
1. 치수정밀도가 높고, 가공표면이 매끈하다.
2. 기계적 성질을 개선
3. 인장강도, 항복점, 탄성한계, 경도는 증가 // 연신율, 단면수축률, 인성은 감소
** 아래는 제가 그냥 스토리텔링해서 외우는 방법입니다. (그냥 개인적으로 상상하면서 외우는방법임)
→ 철을 하나도 가열안하고 지금 우리 앞에 두고 그대로 가공한다고 상상해보겠습니다. 얘는 열을 가한게 아니니까 팽창도 안한 상태겠죠. (=치수정밀도가 높다, 단면수축률 낮은상태) 또한 열을 가한게 아니니까 강도, 경도, 항복점 등의 '강도'와 관련있는 성질들은 증가하면 했지 줄어들진 않을겁니다. (=연신율, 인성등은 늘어날 일이 없음)
● 열간가공이란? (Hot Working) : 재결정온도 이상에서 가공하는 것 (★)
1. 재질의 균일화 (그러나 치수, 형상등의 균일성은 냉간가공이 더 우수)
2. 가공도가 크다. (가공이 쉽다), 거친 가공에 적합 (거친 형태, 표면으로 가공이 된다)
*재결정은 내부응력이 없는 새로운 연화된 결정핵이라고 위에 적혀있습니다. 즉 재결정온도 이상에서 가공한다는 것은 내부응력이 상당히 감소한 상태(=재질의 균일화)이므로 가공이 용이합니다. (=가공도가 크다)
3. 정밀가공이 어렵다.
4. 연신율, 단면수축률, 충격값 등이 개선된다.
** 재결정은 내부응력이 없는 새로운 연화된 결정핵이라고 위에 적혀있습니다. 즉 재결정온도 이상에서 가공한다는 것은 내부응력이 상당히 감소한 상태(=재질의 균일화)이므로 가공이 용이합니다. (=가공도가 크다)
** 비약적으로 재결정온도가 높다고 상상해보면, 금속이 뜨거워져서 물렁물렁하고 팽창한상태이므로 가공하기 좋고, 대신 정밀가공이 어렵다는걸 상상해볼 수 있습니다. 또한 온도가 높으면 금속이 산화되기가 쉬워서 이 또한 정밀가공을 어렵게 합니다.
■ 가공경화 (Strain Hardening, = 변형경화)
1. 정의 : 재결정온도 이하 (=냉간가공)에서 가공할수록 재료가 단단해지는 현상 (강도 및 경도증가)
- 위에 '소성변형의 원리' 파트에서 '슬립(slip)' 쪽을 다시 한번 봅시다
2. 특징
- (재료가 단단해지니까) 강도 및 경도증가 // 연신율, 인성, 단면수축률 감소
- 없애기 위해서는 풀림처리를 하거나, 재결정온도 이상에서 가공 (★) 한다
- 가공경화의 예시 : 철사를 반복해서 굽히다보면 어느순간 그 부분이 부러짐
■ 시효경화 (Age Hardening)
1. 정의 : 재료가 가공경화 직후부터 차차 기계적 성질이 변하다가, 나중에 되서는 일정한 값을 나타내는 현상
2. 예시 : 담금질 한 후에 오래 방치하거나 적당히 뜨임을 하면 경도가 증가함
3. 시효경화를 일으키기 쉬운 재료 : 황동, 강철 두랄루민 (황강두 로 암기. 뭔가 강도이름같지 않나요 -.-;)
※ 석출경화 : 온도의 영향 또는 시간의 경과로 인해 하나의 고체 속에 다른 고체가 별개의 상으로 석출되면서 그 모재가 단단해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. 여기서 시효경화는 석출경화에 의한 것, 즉 시간의 경과로 인해 모재가 단단해지는 석출경화를 시효경화로 본다고 합니다.
소성변형,쌍정,슬립,전위,재결정,재결정온도,금속의재결정,재결정특징,냉간가공,열간가공,냉간가공특징,열간가공특징,가공경화,변형경화,스트레인하드닝,STRAIN HARDENING, 시효경화, 석출경화, 재료의소성변형,금속의소성변형,기계재료